배터리(55)
-
한국 배터리 제조 설비 업체 현황-물류 및 검사 공정
공정별 배터리 제조 설비 업체 현황 검사 공정 배터리 제조 공정 설비 중 23%를 차지하는 기타 설비로는 검사설비와 물류 설비가 있다. 검사 설비는 양, 음극 재료에 존재하는 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탈철 설비부터 배터리 내부 defect를 검사하는 X-ray 검사설비, 제품의 외관을 광학적인 방법으로 검사하는 광학검사기등이 있다 회사명 생산 제품 탈철설비 X-ray 광학검사 DaeBo mganetic ● NSYS ● Innometry ● Intekplus ● V-One Tech ● Xavis ● DaeBo magnetic는 배터리 소재에 함유된 철(Fe)을 제거하는 탈철기 제조업체다. 리튬광산과 전구체, 양극재, 음극재, 배터리 제조업체에 탈철기를 공급한다. 지역별 매출 비중은 중국이 70~80%, 기타 ..
2022.10.11 -
한국 배터리 제조 설비 업체 현황-화성 공정
공정별 배터리 제조 설비 업체 현황 화성 공정 화성 공정은 조립된 배터리에 전기적 특성을 부여하고, 결함 여부를 파악하는 마무리 공정이다 .리튬 이온 배터리 라인 투자 비용의 약 29%를 차지하며 배터리의 형태에 따라 설비의 설계가 변화될 수있다. 화성 공정 설비 공정설명 충방전기 전지에 충전과 방전을 통해 SEI층 형성하여 전지를 활성화하고 용량 검사 에이징 활성화 공정 이후 전지의 안정화를 거치는 공정으로 각회사의 시스템에 따라 상온과 고온에서 진행한다. 공정중에 금속이물이 삽입된 전지나 불량전지를 OCV의 변화를 통해 선별해낸다. IR/OCV OCV와 AC-IR을 측정하여 불량전지를 선별한다. 그레이딩 충방전기로 측정된 용량을 근거로 용량별로 전지를 그레이딩한다. 회사별 화성 공정 설비 제품군 회사..
2022.10.10 -
한국 배터리 제조 설비 업체 현황-조립 공정
각 공정별 배터리 제조 설비 업체 현황 조립공정 조립공정은 전극 공정을 통해 제조된 양극판과 음극판을 분리막과 같이 배터리 형태에 따라서 조립하는 공정으로 리튬이온 배터리 라인 투자의 약 17%를 차지한다. 조립 공정은 배터리의 형태나 배터리 업체가 어떤 공정 혹은 기술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공정이 변화한다. 배터리의 종류에 따라 원통형, 각형, 파우치타입으로 나뉘며 각형과 파우치 타입의 경우에는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쌓는 방법에 따라 권취형과 적층형으로 나누인다. 양극과 음극단의 탭을 붙이는 웰딩과정을 거친 후 캔에 넣는데, 각형과 원통형의 경우는 알루미늄 메탈 캔과 니켈이 도금된 스틸 캔이 케이스 역할을 하며, 파우치형의 경우는 알루미늄 베이스의 필름 파우치가 케이스 역할을 한다. 각형, 원통형은 레이저..
2022.10.09 -
한국 배터리 제조 설비 업체 현황-전극 공정
공정별 배터리 제조 설비 업체 현황 전극 공정 전극 공정은 크게 믹싱, 코팅, 압연, 슬리팅, 진공건조의 5가지로 나누어진다. 아래에는 각 공정의 주요 설비이다. 전극 공정 설비 공정설명 믹서 양음극 활물질을 바인더 , 도전재를 섞어 슬러리 형태로 만들어주는 공정. 전체 공정설비비용의 약 5% 를 차지. 양극의 경우 양극활물질+ PVDF 바인더+ 도전재, NMP용매를 사용. 음극은 인조 흑연의 경우 인조흑연+PVDF+NMP , 천연 흑연의 경우 쳔연흑연+SBR 바인더+ 물+CMC 를 사용한다 코터 Slurry 형태의 양 음극 활물질을 알루미늄과 동박에 도포하는 공정이다. 전체 공정설비비용의 약 18% 를 차지. 배터리 설계의 대부분 변수를 결정하는 공정으로 , 코팅 공정 설계에 따라 활물질의 사용량, 전..
2022.10.08 -
한국 배터리 제조 설비 업체 현황
한국 설비 업체는 2019년 이전까지 중국 내 배터리 수요의 급격한 증가로 전통적으로 배터리 제조 설비를 만들어오지 않은 업체들까지 가세하면서 다양한 업체들이 난립했었다. 그러나 코로나 19로 인한 전반적인 고객사들의 설비 발주가 연기되고 조립된 설비를 고객사의 생산 시설에 조립 설치, 시운전을 위한 인력 이동이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자 기술력을 가지고 전통적으로 배터리 제조 설비를 생산하는 업체들 외에는 정리가 되었다. 코로나 19 상황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EV와 ESS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에 힘입어 한국 내 배터리 제조 3 사인 LG Energy solution, 삼성 SDI, SK On에 배터리 공급 계약 체결이 많아졌다. 이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한국 배터리 제조 설비 업체들은 발주..
2022.10.07 -
파우치 배터리의 Al층이 부식 되는 원인
파우치형 리튬 이온 배터리는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을 포장재로 사용합니다. Al 파우치는 나일론, 알루미늄 포일 및 CPP (캐스팅 폴리프로필렌)의 3중 복합 필름으로 구성됩니다. 외층의 경우 나일론 외에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외부와 접촉하게 되는 Nylon층은 외부의 스크래치 등의 물리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전기적인 절연층의 역할을 한다. 중간에 있는 Al 포일 층은 가스와 수분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내부층인 CPP는 전해액으로부터 Al포일층을 보호하고 배터리를 밀봉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AL파우치는 얇고 유연한 폴리머와 알루미늄 호일로 구성되어 있어 포장..
2022.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