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고체 배터리(6)
-
전고체 배터리 전망_구성요소간 호환성
구성요소 간 호환성셀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서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SSB를 설계할 때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결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검토해야 합니다.SSB의 구성요소들 간의 문제점들에 대한 연구들은 한창 진행 중이기 때문에 가능한 모든 조합에 대해 이러한 정보를 제공할 수는 없지만, 아래에 제시된 표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전해질들을 서로 다른 활성 물질과 결합할 때 발생하는 영향들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각각의 전해질들의 하위 클래스들들은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들이 비슷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다루지는 않았습니다만 각각의 고체전해질들의 하위 클래스 역시 특정 재료에 따라 문제점들이 다를 수 있습니다. 양극활물질로 쓰이는 전이 금속 산화물인 NMC, NCA, LMO, LCO들도 유사한 ..
2023.12.08 -
전고체 배터리 전망_전고체 배터리의 구조
SSB (Solid-State Battery)의 전기화학적 구성은 LIB (Lithium Ion Battery)와 동일합니다. LIB와의 차이점은 액체 전해질을 고체 전해질로 대체한다는 것입니다. 전해질과 양음극 활물질 사이의 이온 접촉은 긴밀해야 하는데 고체전해질의 특성상 액체 전해질보다 이온 접촉이 긴밀하지 못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SB는 활물질과 고체전해질 입자를 혼합한 후 압축하여 접촉 저항을 최대한 줄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압축을 해서 제조한다 해도 충전/방전을 반복하게 되면 활물질의 부피 변화로 인해 고체 전해질과 활물질 사이의 계면 접촉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인해 일반적으로 SSB는 외부에서 압력을 가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SSB는 액체..
2023.11.01 -
일본 자동차 메이커들의 전고체 배터리 개발 동향
전고체 배터리 양산 시점 2028년으로 전망일본의 자동차 메이커들은 전고체 배터리의 양산 시기를 2028년 전후로 전망하기 시작했다. 2028년에는 소량으로 생산될 것이고 본격적으로 물량이 늘어나는 시기는 2030년 이후로 전망한다. 이러한 전망은 지금까지 전망하던 양산 시기보다는 늦지만 일단 전고체 배터리가 개발되면 게임 체인저가 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전망하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가 전기자동차용으로 주목을 끈 계기는 도쿄 공업대학 칸노(菅野) 교수가 2011년에 이온 전도도가 높은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을 발견하면서부터이다. 칸노 교수는 2030년 이후 본격 양산이라고 하는 최근의 전망에 대해서는 "지금까지의 기대치가 너무 높았던 것일 뿐 2030년은 당초 예상하고 있던 본격 양산시점"이라고 말했다...
2022.11.07 -
ACC와 ProLogium, EV 용 전고체 배터리 개발 가속화 위해 협력
2022년 10월 17일 프랑스 배터리 제조 업체 ACC (Automotive Cells Company)와 대만의 배터리 제조업체 프롤로지움 (ProLogium Technology)은 EV용 전고체 배터리 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에 서명했습니다.양사는 각자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시스템보다 우수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고체 배터리를 기반으로 최첨단 EV 솔루션을 공동개발 할 계획입니다.ACC는 이를 통해 자동차 배터리 개발 및 제조 분야에서 유럽 배터리 산업에서 리더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고 ProLogium은 전고체 배터리 기술의 리더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할 계획입니다.ACC의 CEO인 Yann Vincent는 “ACC의 목적은 최고 수준의 품질과 최저 탄소 발자국 ..
2022.10.30 -
3D 프린팅 전고체 배터리 제조 업체 Sakuu, 일본 NGK와 제휴
세계 최초로 3D 프린팅 방식으로 전고체 배터리 생산을 준비 중인 Sakuu는 9월 21일 일본의 NGK Spark Plugs CO., LTD. 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NGK는 전기화학 재료의 글로벌 리더이자 티어 1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입니다. Sakuu는 2023년 시장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NGK는 MOU에 따라 Sakuu의 고체 배터리 생산을 위한 세라믹 재료를 공동 개발하고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Sakuu의 파일럿 라인부터 양산라인까지 세라믹 재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얘 정입니다. NGK R&D 책임자인 Keiji Suzuki는 “세라믹 소재 분야에서 80년의 경험을 가진 NGK가 3D 프린팅 전고체 배터리의 선구자인 Sakuu와 협력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2022.10.29 -
삼성 SDI 전고체 배터리 기술
지난 2020년 3월 9일 삼성이 Nature Energy에 발표한 내용을 근거로 삼성 SDI의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살펴보고자한다.(High-energy long-cycling all-solid-state lithium metal batteries enabled by silver-carbon composite anode, nature Energy5, 299~308_2020) 이 논문은 SAIT (Samsung Advanced Institute Technology)와 일본에 있는 요코하마 연구소에서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발표하였고 지금은 양산을 위해 Samsung SDI 연구소로 이관하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2022년 3월에 약 6500㎡(약 2000평) 규모의 파일롯 라인을 구축한다고 발표하였고..
2022.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