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고체 전지(3)
-
전고체 배터리 전망_양극활물질
양극 활물질SSB의 잠재적인 재료로 다양한 양극 활물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1) Ni-rich high Energy 재료Ni함량이 높은 층상 산화물인 NMC, NCA은 3.8V (vs Li)의 전위를 갖으며 더 높은 에너지 밀도를 발휘할 수 있고 기존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가 가능합니다. 승용차 부문에서는 오늘날 NMC 층상 산화물(LiMO2, M = Mn, Co, Ni 및 도펀트)이 주로 사용됩니다. 층상 산화물의 이론 비용량은 약 275mAh/g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가역적으로 계속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리튬이 탈리되는 양을 (Li1-xMO2, 0 0.6Mn0.2Co0.2O2)는 약 170~180mAh/g을 비용량을 가지며, NMC811 (LiNi0.8Mn0.1Co0.1O2)은 200..
2023.11.02 -
Nissan 자동차의 배터리 개발 전략
요약: 전기차 초기 선도적인 위치에 있던 닛산은 일본자국시장의 전기차에 대한 무관심과 예상했던 것보다 늦게 개화된 전기차 시장의 여파로 다른 일본 회사들과 함께 전기차 분야에서 뒤쳐지게 되었다. 이를 극적으로 만회할 방법은 전고체 전지를 개발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2018년부터 꾸준히 전고체 전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고 2028년에는 전고체 전지를 양산하겠다고 발표하였다. 닛산이 발표한 내용들을 좀더 자세히 검토해보고 우리가 배울 점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자 한다. 세계 최초의 양산형 전기차는 2009년에 일본 미쯔비시가 출시한 i-MiEV였지만 순수 전기차로서의 기준을 만들고 전기차의 가능성의 토대를 다진 건 2010년 닛산에서 출시한 Leaf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닛산은 전기차 분야의 이런 선구..
2023.03.03 -
한국 전고체 배터리 개발업체 및 현황
전고체 전지의 경우 무기계인 산화물과 황화물, 유기계인 폴리머로 크게 3종류로 구분하여 분류하고 있고 유무기계를 혼합하여 만드는 Hybrid 형 복합 고체 전해질도 연구가 되고 있다.성능이나 공정면에서 볼때 산화물이나 폴리머 계열보다는 황화물계가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져 황화물계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류고 있고 한국 역시 황화물계의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중국의 경우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전고체 전지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실제 양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고체 전지가 양산되기 전까지 반고체 전지(HSSB: Half Solid-State Batteries)로 불리는 형태의 전지로 1~2년 이내에 양산을 고려하고 있다.중국에서 개발하고 있는 반고체 전지는 형태는 다양하지만 재료로는 산..
2022.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