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배터리 소재(2)
-
지속 가능한 배터리 원자재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
Net-Zero 전환을 위해서는 저탄소 기술의 개발과 출시를 지원하기 위해 막대한 양의 원자재가 필요합니다. 배터리 전기 자동차(BEV)는 탄소중립으로 가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McKinsey는 BEV 부문의 전 세계 승용차 수요가 2021년부터 2030년까지 6배 증가하여 같은 기간 연간 판매량이 450만 대에서 약 2,800만 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배터리 셀 및 원자재 생산업체의 경우 지속 가능하고 저렴한 원자재를 안정적이고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 경쟁력, BEV의 지속적인 출시, 전반적인 Net-Zero 전환에 매우 중요할 것으로 전망합니다.업계는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도전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으며, 2030년 수요를 따라잡기 위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입니다. 이..
2025.01.15 -
한국 배터리 3사(LG Energy Solution, 삼성 SDI, SK On)의 LFP대응전략
LFP를 고려하지 않는 이유-삼원계 대비 가격, 안전성에서 큰 장점 없다고 판단.한국 배터리 3 사인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는 전기차용 배터리 양극 활물질로 삼원계만 고려하고 있었고 LFP를 고려하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한국 배터리 3사가 저가형보다는 고급형 전기차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좀 더 들여다보면 LFP가 삼원계대비 나을 것이 없다는 인식이 더 주요한 원인이다. 한국 배터리 3사의 배터리 양극재 전략배터리 회사주요 양극재LG에너지 솔루션NCMA (Ni함량 89~90%, Co양을 5%이하로 줄임)SK OnNCM9계(2019년 개발완료, 2022년부터 생산)삼성 SDINCA (Ni함량 88%-Gen5), NCA (Ni함량 91%-Gen6 2024년)가격측면에서 ..
2022.10.13